"시민사회 4.19혁명에서 실천적 교훈 얻어야"
상태바
"시민사회 4.19혁명에서 실천적 교훈 얻어야"
  • master
  • 승인 2010.04.14 15: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인천대서 열리는 학술회의 발표

      1960년 자유당 정권의 3.15 부정선거 규탄과 김주열의 죽음이 기폭제가 된 4.19 혁명 50주년을 맞아 열리는 학술대회에서 4.19 혁명을 통해 실천적인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주최로 15일 인천대에서 열리는 학술회의 '4.19 혁명과 민주주의'는 4.19 혁명의 현재적 의미를 조명하고, 지금까지 이어지는 민주화 운동의 흐름을 짚어보는 자리로 마련된다.

    이날 '4.19 혁명의 현재적 의의'라는 제목으로 발표하는 김태일 영남대 교수는 "현재 민주화 세력은 국민에게 신뢰를 받지 못하는 위기에 처했다"면서 "4.19혁명의 경험에서 민주화 세력이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4.19혁명은 시민사회의 힘 때문에 일어났다"며 "4.19혁명이 지금 우리에게 주는 가장 중요한 교훈은 먼저 시민사회를 주목하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산업화로 인한 인구집중현상과 분단ㆍ전쟁을 거치며 이주해온 피난민들로 도시 인구가 증가하고, 매스컴과 근대교육의 보급으로 시민의식이 성장한 것이 4.19 혁명의 근간이라고 지목했다.

   그는 최근 시민사회가 'IT에 기반을 둔 신유목적(新遊牧的) 특성'을 지녔다는 점을 고려해 그 시민사회의 힘을 정치사회가 담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4.19 혁명의 정신은 국가권력의 사물화(私物化)를 막은 견제와 저항 정신이라고 설명하고, 현재의 시민사회단체도 국가권력의 구조를 바꾸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4.19 혁명은 학생과 언론, 지식인, 민중과 도시빈민 등의 광범위한 연대의 산물"이었다는 점을 들어 "정치사회와 시민사회가 연대의 틀을 짜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고경민 제주대 교수는 발표문 '2000년대 인터넷과 시민의 정치참여 : 촛불시위 사례'를 통해 2002년과 2004년, 2008년에 각각 발생한 촛불시위를 4.19 혁명의 계승으로 바라봤다.

   고 교수는 "촛불시위는 4.19를 시발로 한 항의의 정치가 민주화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에도 가볍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에 대한 제도적 포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