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광장', 그 이후’는?
상태바
'촛불 광장', 그 이후’는?
  • 편집부
  • 승인 2017.03.29 07: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가들' 봄호 출간



 인천작가회의가 문학계간지 '작가들' 봄호(통권 60호)를 출간했다. 5월 9일 ‘장미대선’을 이끌어낸 촛불집회의 ‘광장’에 주목하여 ‘광장, 그 이후’를 특집으로 기획하고 오길영, 이인휘, 박점규의 글을 실었다. 광장은 밀실과 대척점에 자리하며 열린 공간을 상징하지만 점거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획일적이고 폭력적인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촛불집회가 명예혁명으로 가는 과정인 탄핵결정은 광장의 주인이 시민임을 선언한 판결이다. “이질적인 목소리들”이 모여 왁자지껄 주권을 실현하고 “평등을 실험”하면서 민주주의의 내용을 채워가기 위해 “광장은” 물질로 가득 채워놓을 일이 아니라 언제나 “비어 있어야” 한다.

조영관 시인 10주기를 맞아 '작가들'은 또 하나의 특집을 마련하고 조영선, 박일환, 일곱째별의 글을 싣는다. 인천의 공장에서 ‘광장의 정신’을 실현하고 싸워온 시인을 뒤늦게나마 발견하고 기리는 일은 “깨어 있는 삶/깨어 있는 문학”을 지향하는 '작가들'의 정신에도 맞는 작업으로 의미가 깊다. 주위 동료들이 하나둘 떠나도 노동현장의 공동체를 모색하고, 시를 갈고 다듬는 일에도 게으르지 않았던 故 조영관 시인의 생애와 작품론을 다루며 시인의 정신을 기리는 조영관 창작기금의 제7회 수혜 작품을 실었다. 수혜자 일곱째별의 작품은 르포와 픽션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촛불광장에 모인 사람들의 아픔과 연대를 보여준다. 한편 <우현재又玄齋>에서 함태영은 3·1운동 후 발행된 지역 최초의 문예지 '개척'을 조명한다. 인천은 노동운동사적으로도 한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지만 문학적 성과에서도 뒤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담·담·담>에는 1980년대 변혁운동 주역들이 민주화운동의 성지가 된 대학로 카페 학림에 모여 나눈 후일담을 실었다. 변화는 지난한 반복 과정이다. 경제성장을 압축적으로 실현한 한국은 민주화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속도가 왜 재앙인지 뼈저리게 느끼면서도 우리는 멈출 수 없는 시스템에 휩쓸려 달려왔다. 이명박의 민주화 후퇴 정책에 이은 4년 재임 박근혜의 유신망령 굿판은,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서 역사가 한 번은 비극으로 한 번은 희극으로 반복된다던 맑스의 발화를 온 국민에게 실시간으로 학습시킨 난장이었다.

<르포>란에는 야스다 고이치安田浩一와 신혜진의 르포를 실었다. 일본 사회의 차별과 혐오 문제를 민감하게 기록해온 야스다 고이치의 이번 글은, 현장성을 포기한 언론과 극우세력의 민낯이 어느 사회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익숙한 모습이라는 사실을 드러내준다. 신혜진은 세월호 참사 때 딸을 잃었지만 미디어에서 좀처럼 조명하지 않는 베트남할아버지의 사연을 전하고 있다.

이번호 문학란은 밀도 있는 작품들로 풍성하다. <시>란은 정세훈, 김주대, 최종천, 문계봉, 조혜영, 김명남, 손병걸, 김수상, 전문영의 신작시를 선보인다. 빛나본 적 없는 마이너리티로서 생존을 위해 안간힘을 쓰는 ?발광?의 주인공의 도덕적 불감증이나, 선택의 여지없이 안마사가 된 시각장애인이 타워크레인의 장기농성자에게 보내는 공감,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대식구의 일상에서 노인은 가고 아이는 태어나는 인간법칙에 ‘왕은 없다’는 <소설란>의 박정윤, 황경란, 응우옌 후이 티엡의 단편은 삼인삼색으로 세상을 꿰뚫는다. <노마네>는 신민규의 동시와 안미란의 동화를 담았다. <비평>란에서 이재용은 1930년대 초 신문에 실린 글을 토대로 황순원의 숭실 중학시절을 조명한다.

<시선視線>에는 사라져가는 인천의 포구와 골목 풍경을 담은 고제민 화가의 작품을 실었다. <서평>란에는 양진채의 '변사기담', 경인일보 특별취재팀의 '인천문학전람'을 각각 양재훈, 김시언 두 필자가 읽고 소개한다. 331쪽. 13,000원.  
<자료제공 = 인천작가회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