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초위왕(走肖爲王)’ 사건, 사실 아닐 가능성 높다"
상태바
"주초위왕(走肖爲王)’ 사건, 사실 아닐 가능성 높다"
  • 윤성문 기자
  • 승인 2017.08.14 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하대 민경진 생명과학화 교수 '곤충학 연구'지에 게재


 
‘주초위왕(走肖爲王)’ 사건은 역사적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인하대 민경진 생명과학화 교수 연구진이 조선 중기 기묘사화의 원인이 된 ‘주초위왕’ 사건에 대해 14일 이같은 연구 결과를 내놨다.

민 교수 연구진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2015년 5월~7월 2달 간 2주 간격으로 관악산 일대를 찾아 꿀로 나뭇잎 뒷면에 임금 ‘왕’자를 써두고 곤충의 섭식 여부를 조사했다.





하지만 분석 결과 어떤 나무에서도 ‘왕’자가 새겨진 경우를 발견하지 못했다.

민 교수는 그 이유로 “‘위(爲)’는 12획으로 이뤄져 있어 그 모양이 복잡하고, 주초위왕 네 글자를 쓸 만한 크기의 나뭇잎이 드물어 곤충의 섭식을 통해 글자를 만들기는 어렵다”며 “곤충이 유충으로 지내는 기간이 짧아 글자를 쓸 수 있는 시간이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점 역시 인위적으로 글자를 만들어 낼 확률이 낮은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박각시나방은 유충으로 있는 기간이 1년 중 20~30일에 불과하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민 교수의 연구 논문 ‘Validation of 走肖爲王: Can insects write letters on leaves?’는 ‘곤충학연구(Entomological Research)'지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생명과학 석·박사 과정에 있는 서응(30), 이보라(27), 최인수(32) 학생이 함께 참여했다.

한편 1519년 발생한 기묘사화는 ‘주초위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조선왕조실록과 연려실기술에는 조선 중종 때 조광조를 없애려는 세력이 궁궐 나뭇잎에 꿀로 ‘주초위왕’, 곧 조광조가 왕이 된다는 의미의 글귀를 써 이를 벌레가 파먹게 한 다음 중종에게 바치게 했다. 이로 인해 중종은 조광조가 역모를 꾸미고 있다 여기게 되고 조광조와 그를 따르는 이들은 사약을 받아 죽거나 귀양을 떠나게 된다.



<나뭇잎 위에 꿀로 ‘왕’이라는 글자를 써 실험하고 있다>


‘주초위왕’의 진실을 실험한 민경진 생명과학과 교수(가운데)와 최인수(왼쪽), 이보라 학생.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