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는 역사 지우기를 중단해야 한다
상태바
끊임없는 역사 지우기를 중단해야 한다
  • 윤현위
  • 승인 2019.07.01 05: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칼럼] 윤현위 / 자유기고가, 지리학박사


부평에 있는 삼릉 줄사택이 철거된다기에 연구소의 선생님들과 가보았다. 사실 삼릉 줄사택은 이전에도 천천히 없어져 왔다. 학생들과 답사할 때마다 삼릉의 줄사택들은 계속 없어져 왔다. 이제 삼릉 입구에 있는 큰 주택들은 모두 없어졌다. 일반 주택이 들어서서 없어진 게 아니라 새뜰마을사업이라는 이름으로, 또 부평2동 동사무소가 들어서는 명분으로 철거가 이루어졌다.

모두 민간기업에 의한 철거가 아닌 관에 의해서 철거되고 있다. 이런 현상을 보면 그 이유를 선뜻 이해하기가 어렵다. 그런데도 가로수나 구청 주변의 홍보용 간판에는 문화가 살아 숨쉰다는 표현을 아무렇지도 않게 쓴다. 살아있는 역사를 죽이고 있는데 문화가 살아 숨쉬는 게 말이나 되는가.

필자는 삼릉 줄사택 전체를 보전하자고 이런 글을 쓰는 게 아니다. 이 문제는 이곳에 실제 거주하는 주민,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 그리고 필자와 같은 제3자의 시선이 복잡하게 엉켜 있다. 실제 거주하는 주민 입장에서는 주거권이 침해 받지 않으면서 주거환경이 개선되는 방안이 가장 좋을 것이다. 줄사택 때문에 부동산가격이 오르지 않아서 피해를 보고 있다고 생각하는 입장도 무조건 나쁘다고만 할 수 없다. 노후한 주거단지로 인해 실제로 재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나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새뜰마을사업으로 삼릉의 줄사택을 철거된 자리에 건설중인 마을커뮤티티센터.

 
일본 강점기에 군수물자 공장의 강제징용 근로자 합숙소로 쓰였던 삼릉 줄사택의  역사성을 보전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무엇일까? 삼릉의 줄사택 중에서 한 두채 정도는 복원하면 좋지 않았을까? 커뮤니티 센터를 만들고 주민센터를 만드는데 꼭 전면철거를 하고 새로운 건물을 만드는 게 능사였을까 싶다. 건물을 보전하고 복원하면 지역의 역사도 보전될 수 있다. 후손들에게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이곳이 어떤 곳이었는지 알려줄 수 있다. 굳이 박물관에 가지 않아도 군함도와 같은 영화를 보지 않아도 가까운 곳에서 일제강점기 굴곡진 역사를 보여줄 수 있었다.

부평 롯데백화점 근처 동아아파트 앞에 있는 옛 조병창이 있었던 미군기지에서부터 철길을 따라 부평공원에서 삼릉 줄사택, 그리고 부평 남부역까지 일제 강점기 후반부를 이곳보다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이 또 있을까 싶다. 그 한 가운데 삼릉 줄사택이 세월을 머금고 서 있다. 삼릉에 알박기를 한 사람들은 개발을 바랄 것이다. 오랜 시간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이니 시세차익이 더 클 것이니 말이다. 삼릉 일대는 아파트단지가 들어서기에는 다소 필지의 면적이 작다. 그렇다면 아마도 요즘 부평에 난립하고 있는 주거용 오피스단지가 들어설게다.

 

노후화로 건물 일부가 훼손된 줄사택 모습.

 
삼릉은 조선인이 실제 살지 않았던 지역이라고 반문을 하거나 일제의 잔재를 왜 혈세를 들여서 복원해야 하냐고 반문하는 사람들도 많이 보았다. 척결되어야 할 일제의 잔재는 부역했던 친일파와 후손들의 흔적이지, 당시에 살았던 사람들의 흔적을 보유하고 있는 건축물과 장소가 아니라고 말해주고 싶다. 지역의 역사를 지우면서까지 짓는 건물이 얼마나 소중한 건물인지 묻고 싶다.

곧 있으면 다가올 총선을 의식할 수도 있고, 구의원 선거를 의식할 수도 있다. 지역의 민심이야 얼마든지 핑계로 댈 수 있겠으나 혹시 이 개발사업에서 정작 이득을 보는 주체는 지방자치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필자는 지울 수 없다. 필자는 지방자치에 상당히 회의적이다. 인천에서 오래된 건물들은 소유주가 명확한 대형 공장을 제외하면 모두 지방정부에 의해서 철거되지 않았던가? 과거의 흔적들을 모두 지우면 그게 미래도시 인천의 완성인 것일까?

 

 1940년대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줄사택 근처의 건물. 과거에 쌀가게가 있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