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성범죄, 영장 기각과 2차 가해들... 그리고 용기내기
[양성평등으로 가는 길] (1) 스크린 속 성평등을 찾아서 - ③벡델 초이스 - 69세 - 이인숙 시민작가
감독: 임선애
배우: 예수정, 기주봉 외 다수
상영시간 : 100분
등급 : 15세이상 관람가
개봉일: 2020. 8.20
"제 얘기가 여러 사람을 불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용기를 내 보는 건 아직 살아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영화 69세, 고발문 -
노인 대상 성범죄를 바탕으로 만든, 용기 내는 게 당연한 나이 영화 69세를 소개한다.
영화 제목으로 나이가 드러난 주인공 효정은 젊은 간호조무사에게 성폭행 당하면서 영화는 시작된다. 영화 속에서 영장이 기각되며, 효정은 치매노인으로 의심받게 된다.
과연 진실은 무엇일까?
노인 인권에 대해 깊이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게 하는 영화다.
노인의 성에 대한 세상의 편견에 용기 낸 69세 노인 여성의 삶. 보통 무심코 지나쳤을 텐데 ‘이제 전, 어려운 고백을 시작하려 합니다.’라는 외침에 합류하고자 on 버튼을 눌렀다.
초반, 화면이 안 나오고 소리만 들려 영사 사고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두운 화면으로 몇 번의 대화 후 성폭행당하는 장면을 보여주지 않고 펄럭이는 커튼이 관객의 마음을 훔친다. 한편으로 시각적인 불쾌감을 덜어주려는 작가의 세심함 배려로 다소 위로가 되었다.
주인공 심효정은 요양보호사로 일한다. 효정은 아내를 사별한 동인과 동거 중이다. 동인은 시인이고, ‘책사랑’이라는 작은 책방을 운영한다. 현재 효정 옆에서 위로와 공감을 해주는 동거인이다. 효정은 가끔 책방도 도와주며 서로 의지하며 노후를 평범한 행복으로 가꾸어 간다.
그러던 효정이 물리치료 중 29세 간호조무사로부터 성폭행을 당한다. 손목에 멍을 발견한 동인의 질문에 덤덤하게 효정은 자신의 처지를 의논한다. “아무래도 간호사를 경찰에 신고해야겠어요. 같이 가 주실 수 있죠?”라는 대화로.
그리고 두 사람이 경찰관 앞에 선다.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69세 여자 효정은 민원실에 들어가서 주변 눈치를 살핀다. 고소장 작성 예시를 보고 효정이 겪고 있는 첫 경험들을 필자도 함께 간접적으로 체험해 본다.
가해자 84년생 29살 이중호는 병원에서 친절직원이란다. 병원 측 말을 받아 ‘친절이 과했네’라는 (경찰의) 말과 가해자 조사 때 ‘너희 집 돈 많아?’ ‘멀쩡하게 생겨서 뭐가 아쉬워서 그랬어?’ 라며 생각 없이 던지는 말들!
경찰관은 악의 없겠지만, 무심코 던진 행동과 말들이 효정에게 2차 가해가 되기에 충분하다. 담당 형사 질문은 형제애 또는 의리라고 하는 남자들끼리의 동맹처럼 끔찍한 성범죄를 저지르더라도 잘못을 묻지 않고 이런 사건 앞에서 눈 감아버리고도 정말 떳떳하다고 할 수 있을까? 묻고 따지고 싶어진다.
그러니, 믿기 어렵다고 치매로 몰아붙이는 형사들과 주변인들의 반응은 그리 놀라울 것도 아닐 것이다.
성별을 떠나 병원을 소개해 준 수간호사와 주변 사람들의 사회 통념적인 인식도 드러난다. ‘조심 좀 하지 그랬어요.’ ‘몸이 새색시처럼 이쁘네요.’ 등 이런 말들에 주인공은 용기가 실종된다.
이런 반복되는 2차 가해에도 불구하고 효정은 목소리를 높일 수 있을까? 마음으로 응원의 힘이 가득 차오른다. 그녀를 바라보는 시선들의 대조는 인상적이었다. 한 명의 인격체로서 인격살인을 당한 일인데 생각 없는 2차 가해 장면들이 인간들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결국, 도우려 하나 뜻대로 되지 않는 동거인 동인도 의심의 끈을 잡는다. 충격으로 다림질하다 옷을 태웠을 때 신경 쓰지 말라며, 어울리지 않는 옷이었다고 말해주는 동인마저 시간이 갈수록 치매기가 보이는 효정을 의심하더니, 가해자를 향해 '자백해 주면 내가 최대한 선처해 볼게', 또는 '용서해 준다'고 거래한다.
가장 중요한 피해자 효정의 상황을 완벽하게 이해해주지 못하는 것이다. 우리는 깊이 이해한다고 하지만, 정작 당사자의 마음을 온전히 이해하기는 어렵다. 때론 피해자를 더욱 힘들게 만드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반복되는 영장 기각에 동인은 “그럼, 이제 도대체 뭘 어떻게 해야 합니까?”라고 절규한다. 그 절규는 바로 우리를 향한 질문이 아닐까.
차도 위에서 마주친 가해자 ‘이중호’가 “진짜 내 인생 끝나는거 보고 싶은 거야?” 라고 고함치자 피해자 ‘효정’은 “끝? 인생 그렇게 쉽게 끝나지 않아” 라고 대응한다. 이 장면은 더 이상 가해자 앞에서 작아지지 않는 피해자의 절제되고 현실적인 극복을 그려낸 용기였다.
어둠 속을 달리는 긴 터널이 끝이 아니라 빛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이 느껴졌다. 수영으로 건강관리하고 나이 들어 옷을 잘못 입고 다니면 무시하거나 만만하게 보는 시선을 피하고 싶은 효정이다.
누구나 따뜻한 가정과 가족을 원한다. 효정은 사랑(딸)을 찾아갔지만, 알아보지 못하고 손님처럼 대하는 장면에서 엄마의 가슴 저린 사연이 그대로 녹아내렸다.
효정이 병원 치료 때 동행한 가족이 있었다면, 경찰서에 함께 간 보호자가 정치인 또는 경찰 간부 명함을 내밀었다면 그들은 어떤 태도로 이 사건을 바라보고 해결했을까? 억지를 부려본다.
동인의 고발문을 자신만의 단어로 ‘이제 저는 어려운 고백을 시작으로 한 걸음 한 걸음 햇빛으로 나아가 보려 합니다’. 하고 자신의 억울함을 세상에 알리고, 그리고 69세 삶에 희망을 알리는 엔딩 장면(한 장 한 장 바람과 함께 흩날리는 종이)은 검은 화면에 소리만 들리는 첫 장면과 닮은 듯 다르다.
영화 69세는 성폭력의 사각지대 노인 대상 성범죄를 다룬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세상을 향해 발걸음을 내딛는 용기는 편견을 가진 다수를 향한 소수의 불편한 외침으로 곱씹어 보는 영화로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