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미세먼지 60%, 2035년 온실가스 50% 저감
탄소중립·에너지 전환 위한 제도적·물리적 기반 필요
인천항만공사(IPA)가 친환경 탄소중립 추진 계획과 그동안의 성과를 공개했다.
공사는 13일 인천녹색연합과 가톨릭환경연대, 탄소중립마을너머사회적협동조합 관계자들을 초청해 '인천항만공사 기후위기 대응 계획 살펴보기' 세미나를 진행했다.
공사는 우선 2030년 미세먼지 60% 저감과 2035년 BAU 대비 온실가스 50% 저감을 경영 목표로 제시했다.
BAU(Business As Usual)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인위적인 조치가 없다는 가정 하에 배출이 예상되는 온실가스 총량을 뜻한다.
앞서 공사는 2021년 8월 '인천항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바 있다. 2021년 11월 정부의 '2050 탄소중립' 계획 발표에 따른 후속 조치다.
인천항 탄소중립 계획의 큰 틀은 2030년 자체 탄소중립을 시작으로 2040년 하역 부문, 2045년 항만배후단지, 2050년 해상·육상수송 연계 부문 탄소중립 달성이다.
2030년과 2035년 경영목표는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장기 계획으로, 이날 세미나에선 기존 탄소중립 계획에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 저감 계획을 함께 발표했다.
공사 관계자는 "항만의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은 대부분 동일하다. 동시 저감을 위한 통합관리가 필요하다"며 "외국은 통합관리를 통해 동시저감정책을 이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항만은 정부 정책에 따라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정책에 간극이 있다"고 말했다.
공사의 친환경 인천항 추진 전략은 ▲오염물질 저감 ▲저탄소 항만 구축(탄소중립) ▲친해양환경 조성 3가지로 나뉜다.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세부 계획은 오염원별 미세먼지 배출 저감, 항만 위해요인 예방체계 획립, 실내공기질 개선과 날림먼지 저감 관리 강화다.
공사는 2019년 9월부터 연료 사용 절감을 위한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VSR)을 도입해 참여 선박에 입출항료만큼의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다. 지난해 전체 선사의 68%가 참여했다.
해양수산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컨테이너선의 경우 VSR을 도입할 경우 미세먼지를 60%까지 줄일 수 있다.
야드트랙터와 트랜스퍼 크레인 등 하역장비의 전기·수소 전환, 인천항에 출입하는 노후 활물차량의 디젤 입자 필터(DPF) 점검도 지원하고 있다.
특히 고압 육상전원공급시설(AMP)의 경우 전국 항만 가운데 가장 우수한 운영 실적을 보였다.
2020년 11월부터 국제여객 1·2·5번석 3곳에 90억원을 들여 AMP을 설치해 지난해까지 80.2%을 가동률을 기록했다.
항만에 정박한 선박은 필수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기름을 때는데, 이때 온실가스를 비롯해 황산화물 등 오염물질과 미세먼지가 배출된다.
AMP은 이때 선박에 전기를 공급해 유류 사용을 줄여 온실가스 40%, 오염물질과 미세먼지 97%를 저감할 수 있다.
다만 한계도 명확했다. 공사 관계자는 "AMP 1기에 필요한 전력량이 아파트단지 한 곳 전체가 쓰는 전력량과 맞먹는다"며 "전기 공급원 확보가 사업 확대의 열쇄다. 전력 기반시설 구성을 위한 정부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경제적 이유로 APM 활용 가능한 선박도 많지 않아 2021년 이후로 인천항은 AMP를 증설하지 않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항만 경쟁력 약화가 우려되기 때문에 친환경설비를 선사들에게 강제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라고 했다.
탄소중립의 세부 계획은 온실가스 저감과 저탄소 기발시설 구축, 인천항 기후변화 대응 강화, K-그린뉴딜 기술 확대다.
공사는 정보통신(ICT) 기술을 활용해 인천항의 탄소 관리 플랫폼을 구축했다. 또 인천신항 인근 LNG인수기지의 냉열을 재활용해 배후부지에 냉동·냉장 클러스터를 조성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인천항 8곳에 4.54MW 규모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했다. 생산한 전력은 한전에 판매하고, 수익은 취약계층 지원 등에 사용한다.
태양광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 역시 한계가 있었다. 공사 관계자는 "우리가 결정해 태양광발전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곳은 모두 설치했다"며 "이젠 항만운영사 등을 설득해 설치 장소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세계적 흐름이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장려해 인천항 운영사들도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려면 동참해야 한다"면서도 "아직 국내엔 강제할 수단이 없다"고 말했다.
친해양환경 조성은 해양환경 정화 지속 추진, 친환경 ESG(지속가능경영) 이행, 해양환경 자원순환경제 활성화다.
공사는 유관기관들과 꾸준히 해양정화 활동을 하며, 홍보용품으로 재활용 제품 등을 이용하고 있다. 또 친환경 해양문화 확산을 위해 각종 캠페인과 서포터즈 등을 운영한다.
공사는 탄소중립과 미세먼지 저감에 선사들의 참여가 절대적이라고 강조한다.
공사 관계자는 "인천항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95%가 선박에서 나온다. 항만시설은 5% 미만이다"며 "국내항은 미국이나 유럽처럼 절대적 지위를 갖지 못해 외국선적에 강제력을 행사하기 어렵다. 우리나라도 참여하는 UN 산하 국제해사기구 등의 합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수도권에 위치한 인천항은 시민들이 환경 문제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공사가 선도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세미나는 인천녹색연합·가톨릭환경연대·탄소중립마을너머사회적협동조합의 '2024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전환을 위한 에너지 시민 워크샵'의 제1주제 '기후위기 대응 계획 살펴보기'의 마지막 활동이다.
앞서서는 인천시 탄소중립 기본계획과 계양3기 신도시의 탄소중립 계획을 살펴봤다.
에너지 시민 워크샵은 오는 20일 제2주제인 '지역에너지 전환 사례 살펴보기'의 마지막 활동인 경기도 안산시의 시민참여햇빛발전소 사례를 견학한 뒤 다음 달 2일 앞으로의 활동 방향을 논의하는 집담회를 끝으로 마무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