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내항 재생은 개발이 아닌 개방이다
상태바
인천내항 재생은 개발이 아닌 개방이다
  • 안병배
  • 승인 2020.06.01 07: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칼럼] 안병배 / 인천광역시의회 부의장

 

인천내항 1.8부두 공공재생을 위한 시민행동 회원들이 지난 4월6일 인천항만공사 정문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인천내항 1.8부두 공공재생을 위한 시민행동 회원들이 지난 4월6일 인천항만공사 정문서 기자회견을 갖고있다.

인천내항은 인천의 핫플레이스이며, 원도심 재생의 미래 비전으로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다. 인천내항이 '인간 중심 재생사업'의 본보기가 되어 「내항이 있어 행복한 인천시민」을 표방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무엇보다 인천항의 발전과 시민의 권리는 공존해야 한다.

1970년 초까지 내항 주변은 인천의 중심지였다. 그러나 항만물류의 원활한 수송을 위해 갑문을 만들기 시작한 이후, 철조망이 쳐지고 고철·곡물의 먼지, 화물차의 비산먼지, 매연 등 열악한 환경으로 변화하여, 결국 내항 주변은 쇠락하고 떠나가는 침체된 도시로 바뀌었다.

30년이 지난 2001년, 항만물류업계는 국제 물류 환경 변화에 따라 갑문항이 제 역할을 할 수 없고 켄테이너 배후부지가 부족해지자 인천항 발전 대토론회를 열어 송도신항, 북항, 남항 등 외항의 역할 변화를 중앙정부에 건의했다. 그리하여 2006년 북항에 고철부두를 건설하여 개항했으나 내항주변 주민들에게는 달라지는 것이 없었기에 시민들은 내항 8부두의 고철하역 기능 이전을 주장하며 고철하역 부두인 8부두를 시민의 품으로 돌려 달라는 요구를 하였으나, 항만물류업계는 거부했다.

이에 내항주변 주민들과 상인들은 생존권 쟁취를 위해 반발하며 내항 살리기 시민모임을 구성하여 항만재개발 특별법에 근거한 유휴항만으로서의 내항재개발을 요구하는 국회청원을 2007년 어렵게 통과시켰다. 그리고 단결된 시민운동 노력 끝에 10년이 지난 2017년 비로소 해수부장관으로부터 1,8부두의 개방을 약속받고 2019년 1월 시민의 뜻이 관철된 마스터 플랜을 마련하여 인천내항 일원 미래비전 선포식이 해양수산부, 인천광역시, LH, 인천항만공사가 참여한 가운데 열렸다.

그러나 LH가 사업을 포기하면서 인천항만공사는 비싼 값에 땅을 팔려고 혈안이 되어 사후정산하자는 인천도시공사와의 협의를 뒤로 한 채 항만재개발 사업화 계획 보완 용역을 수억원을 들여 발주하고 경제적 타당성, 파급 효과 분석이라는 명분으로 오직 수익을 위한 과업의 재구조화라는 고밀도 개발, 8부두 이용계획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개방후의 도시계획을 인천항만공사가 무슨 권리로 결정하려 하는가? 인천시민들에게는 정말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대응하고자 인천광역시의회에서는 내항재생 뉴딜연구회(대표 안병배)를 출범하고 내항의 주인은 인천시민이고 내항 개방후의 담론은 시민의 몫임을 천명하며 시민이 함께 하는 거버넌스의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는 인천항만공사의 소유이므로 복잡한 이해관계를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쉽진 않지만 영종 준설토 투기장의 개발수익으로 돌려 주겠다던 해수부의 약속대로 조건없는 개방만이 해결책이라 본다.

지난 5월 21일 내항재생연구회는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힘있고 폭넓은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시민들의 뜻을 관철시키는 인천내항 공공재생조례를 제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지만 이 자리에서 인천시의 주도적 참여가 요구되어 추정가 3,300억원에 불과한 내항 1,8 부두를 부평캠프마켓 경우처럼 인천시가 매입하여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인천 정치권의 무관심에 대해 ‘과연 부산이라면 해양수산부와 인천항만공사로부터 이렇게 천대를 받았겠는가’라는 질타도 있었다.

우선 7월부터 1,8 부두만이라도 조건없이 개방하자!

인천시와 정치권의 관심과 노력에 인천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만이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과 어우러지는 인천내항의 정체성이 시민들의 담론으로 만들어 질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