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시민의 필수의료를 보장하는 지역완결적 의료체계 갖춰야
줄기세포치료, 안티 에이징(항노화) 등은 통상적으로 영리 목적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인천부천지역본부와 인천공공의료포럼이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차병원의 송도 글로벌 특화병원 추진을 반대하고 나섰다.
보건의료노조 인천부천본부와 인천공공의료포럼(건강과 나눔,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인천지부, 인천적십자기관노조, 인천평화복지연대, 보건의료노조 인천시의료원지부)은 13일 보도자료를 내 “인천경제청과 성광의료재단(차병원)이 12일 체결한 송도 글로벌 특화병원 추진 양해각서는 필수의료 확대 등 시민들의 건강권 보장이 아닌 개발논리에 맞춰져 있다”며 “필수의료 부문 의료인력 부족 등의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시민의 생명 및 안전과는 무관한 비필수의료 분야에 초점을 맞춘 병원을 송도에 건립하겠다는 것은 정부의 필수의료 강화 방향에 찬물을 끼얹고 인천의 의료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인천은 의료인력과 공공병원 병상 부족 등으로 인구 10만명당 연령표준화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서울보다 65%가량,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진료 사망률은 47%가량 각각 높은데 이처럼 열악한 의료 현실에서 인천 시민과 송도 주민들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고가의 상업적 진료를 하는 글로벌 특화병원이 아니라 가까운 곳에 의료기관을 확충하고 필수의료를 보장하는 지역완결적 의료체계를 갖추는 것이고 이것이 진정으로 시민을 위한 행정”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인천경제청과 차병원이 추진하는 특화병원의 서비스는 ‘줄기세포치료, 안티 에이징(항노화)’ 등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영리를 목적으로 한다”며 “성광의료재단이 회원제로 운영하는 강남 ‘차움’(프리미엄 건강검진, 토탈 뷰티케어)은 2014년 기준 입회비가 1억7,000만원, 연회비가 450만원 수준으로 알려지는 등 상위 0.1%의 부자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그들만의 세상’”이라고 비꼬았다.
이들은 “이번 양해각서에는 인천경제청과 차병원이 ‘글로벌 특화병원 운영을 위한 제도개선을 중앙정부에 건의하는 등 협력한다’는 내용이 들어있는데 ‘제도 개선’과 ‘규제 완화’를 통해 우회적인 방식과 편법으로 극단적 영리추구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인천공공의료포럼 등은 “인천경제청과 차병원은 송도 글로벌 특화병원이 영리병원이 아니라고 주장만 할 것이 아니라 필요한 제도 개선, 특히 외국 수준의 규제 완화가 어떤 내용인지 당당하게 밝혀야 한다”며 “인천경제청과 차병원에 공개 토론을 요구한다”고 입장을 표명했다.

이와 관련해 인천경제청은 “난임분야는 인구절벽 문제 해소에 도움이 되고 소아과·산부인과와 관련이 있는 필수 의료”라며 “안티에이징 분야와 7개 의료기관 중 1개 회원제 의료기관만 부각시켜 송도 글로벌 특화병원이 마치 부자들만을 위한 사업인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악의적”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차바이오그룹은 일산·강남·분당·구미 차병원, 분당차여성병원, LA 할리우드 차병원, Tokyo Cell Clinic, 차여성의학연구소(난임센터), 차움(건강검진과 뷰티케어), 차의과대학, 제1판교테크노밸리 바이오연구소, 제2판교테크노밸리 세포치료제연구소, 차바이오텍(바이오/광학), 차바이오 F&C(식품/화장품), 차메디텍(의료기기), CMG제약으로 구성돼 있다.
인천경제청이 제공한 NICE 평가정보(2022년 12월 기준)에 따르면 1990년 설립한 성광의료재단(비영리단체)은 종업원 4,541명, 자본금 199억원, 자산총계 7,430억원, 매출액 8,266억원이고 신용평가등급은 A+, 현금흐름등급은 CF2로 신용 및 현금흐름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