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정치권 '아쉬움'

경인선이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대상에서 빠졌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추가 협의를 거쳐 경인선과 경부선, 경원선 지하화 추진 방안을 마련해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부산시, 대전시, 안산시를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지역으로 발표했다.
사업 대상은 부산진역∼부산역 2.8km, 대전조차장역 2.4km, 안산선 초지역∼중앙역 5.1km 구간이다.
3개 지역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구간과 비용 분담에 대한 논의를 마친 곳으로 올해 상반기 중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할 예정이다.
철도 지하화는 도심을 가로지르는 지상 철로를 지하화하거나 인공지반으로 덮어 지상 부지를 주거·상업 시설 등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특별법에 따라 정부 재정 지원 없이 철도 상부와 주변 부지를 통합 개발해 발생하는 이익으로 비용을 충당한다.
국토부는 이번 발표에서 제외한 경인선과 경부선, 경원선 구간에 대해 지자체와 추가 협의를 거쳐 지하화 추진 방안을 발표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지난해 10월 경인선 인천역~온수역 22.63km 구간의 지하화 방안을 담은 제안서를 국토부에 제출했다.
이중 인천은 인천역∼부개역 14km 구간으로 철도 지하화 3조4000억원, 상부부지 개발 3조2000억원 등 총 6조6000억원을 투입한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경인선이 선도사업 대상에서 빠진 것을 두고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위원장인 맹성규 의원(인천 남동구갑)은 “국토부는 사업 상징성과 타당성, 도시 통합적 재생 등을 고려했어야 했다”며 "타 지자체는 국토부에 부족한 예산을 분담한다는 의지를 보였지만 인천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파악돼 아쉬움이 남는 행정“이라고 말했다.
허종식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은 ”철도 지하화 사업의 성공 관건은 개발 가용지 확보로 국유지인 철도 유휴부지를 우선 확보하고 시유지도 많이 확보해야 한다“며 ”시의 행정력이 중요한 만큼 의원실을 비롯해 당에서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국토부와 협의를 거쳐 올 연말에 경인선을 철도지하화 종합계획에 반영하고 이후 기본계획 수립 등 절차를 차질 없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