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
상태바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
  • 김대환
  • 승인 2017.01.09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이야기] (23) 김대환 / 인천야생조류연구회 회장

저어새류는 과거에 황새목에 포함된 새들이었으나 분자생물학 연구를 통해 사다새목으로 바뀐 분류군 중의 하나이다. 저어새류에 속하는 새들은 전세계적으로 2속 6종이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새가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관찰되는 종이다. 이들 저어새들은 생김새도 비슷하고 생태적 지위도 비슷해서 혼동하기 쉬운 새들이다. 각각의 새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보겠다.
 
[서식지 차이] 두 저어새의 서식지는 매우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의 서식지 차이.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0pixel, 세로 420pixel사진 찍은 날짜: 2016년 07월 20일 오후 12:57
 
  분포권 국내 도래 현황 크기 천연기념물
저어새 좁다 여름 철새 60-78.5 205-1
노랑부리저어새 넓다 겨울 철새 80-93 205-2
 

[노랑부리저어새] 노랑부리저어새는 몽고, 만주, 중국 등지에서 번식하고 우리나라와 중국 남부에서 월동을 한다. 번식지와 월동지 사이의 거리가 저어새 보다 멀리 떨어져 있어 이동 거리가 길다. 저어새에 비해 번식지도 더 추운 북쪽에 있어 크기가 약간 더 크다. 초겨울, 초봄에는 저어새와 함께 관찰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체로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관찰되며 대표적인 월동지로는 천수만 해미천을 들 수 있다.
 
[저어새] 저어새는 노랑부리저어새에 비해 더 적은 수가 남아 있기 때문에 국제적인 멸종위기 종이면서 국제적인 센서스를 실시하는 새이다. 보통 센서스는 매년 1월에 실시되는데 저어새가 관찰되는 모든 나라가 센서스에 참여한다.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25678391422_24aea1eeab.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00pixel, 세로 489pixel사진 찍은 날짜: 2016년 07월 20일 오후 8:39
 그림 1.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 2016년 자료 
 

많은 나라에서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인 저어새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 때문에 저어새의 숫자는 매년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번식지인 우리나라의 경우 저어새 번식환경의 질이 저어새 보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의 동아시아 저어새 동시센서스는 2016년 1월 15일에서 17일까지 진행되었다. 2015년 작년보다(3,272) 84마리가 늘어 올해 2016년 저어새 개체수는 총 3,356마리 조사되었다. 전년대비 2.6% 상승했다. 저어새 월동 개체군이 가장 많은 지역은 대만이다. 올해 총 2,060마리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전체 저어새 수의 61%를 차지한다. 이는 2015년의 2,034 마리보다 26마리(1.3% 상승)가 더 관찰되었다. 대한민국, 일본, 대만, 중국 본토 그리고 마카오에서 관찰된 저어새의 수는 증가한 반면, 딥베이(선전과 홍콩), 베트남에서는 그 수가 감소했다(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 2016년 자료).

 
각 지역에서 기록된 저어새 수는 다음과 같다.
  • : 2,060 (2015년 2,034, +1.3%)
  • (홍콩, 선전): 371 (2015년 411, -9.7%)
  • : 383 (2015년 371, +3.2%)
중국 본토 (하이난 포함): 434 (2015년 330, +31.5%)
  • : 61 (2015년 55, +10.9%)
  • : 9 (2015년 40, -77.5%)
  • : 38 (2015년 31, +22.6%)
  • : 0 [조사 기간 외 기록된 수 1]
  • : 0 (2015년 조사 당시 조사 기간 외 기록된 수 1)
  • : 0 (2015년 조사 당시 조사 기간 외 기록된 수 1)
 
[형태적 특징] 두 종을 비교하는 방법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가장 확실한 차이는 아래 그림과 같이 눈이 어디에 있느냐로 구별한다. 눈이 부리에 포함되어 있느면 저어새, 따로 있으면 노랑부리저어새다.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의 비교.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00pixel, 세로 777pixel사진 찍은 날짜: 2016년 07월 21일 오후 10:06
 그림 2. 노랑부리저어새(좌)와 저어새(우)의 비교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080522송도 (97).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00pixel사진 찍은 날짜: 2015년 10월 03일 오후 6:47
그림 3. 저어새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080522송도 (101).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889pixel사진 찍은 날짜: 2015년 10월 03일 오후 6:47
그림4. 날개끝이 검은 것은 어린새(저어새)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080522송도 (67).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667pixel사진 찍은 날짜: 2015년 10월 03일 오후 6:47
그림5. 저어새 무리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080929 송도 (26).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844pixel사진 찍은 날짜: 2015년 10월 03일 오후 6:47
그림6. 어린 저어새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060218 tjtks 008.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801pixel사진 찍은 날짜: 2016년 07월 20일 오후 12:44
그림7. 먹이 활동 중인 노랑부리저어새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051224천수만100.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801pixel사진 찍은 날짜: 2016년 07월 20일 오후 12:44
그림8. 휴식중인 노랑부리저어새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081230 165주남.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801pixel사진 찍은 날짜: 2016년 07월 20일 오후 12:43
그림9. 날아가는 모습(노랑부리저어새)
 

김대환 
인천야생조류연구회 회장
인하사대부고 생물교사
형태로 찾아보는 우리새도감(지성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