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넘는 역사의 덕적도 북리항, 매년 바닷물에 잠겨
지난해 8~9월 대조기 때 옹진 섬에서 57곳 침수 피해
해수면 상승은 기후변화로 인한 구조적 문제, 대책 마련 절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옹진군 섬의 침수 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러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소속 신영희 인천시의원(옹진군, 행정안전위원회)은 4일 오전 열린 ‘제300회 인천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1924년 조성돼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덕적도 북리항이 몇 년 전부터 대조기 때마다 바닷물이 역류하면서 항구는 물론 인근 도로와 주택까지 침수되고 있다”며 “지난해 대조기 때 북리항 주민들은 무릎까지 차오른 집안의 바닷물을 밤새 퍼내야 했고 도로 침수로 차량은 운행하지 못했으며 어선 접안시설도 기능을 못해 생업에 큰 차질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바닷물 침수는 지난해 8~9월 대조기 당시 대청·소청·연평·승봉도 등에서도 발생해 도로 34곳, 물양장 17곳, 주택 5곳, 새우양식장 1곳 등 57곳이 피해를 입었다.
신 의원은 “서해안 해수면은 지난 35년(1989~2023)간 연평균 3.15㎜씩 상승했고 전 세계 연간 평균 해수면 상승은 1993년 2.1㎜에서 2023년 4.5㎜로 대폭 증가했다”며 “인천 섬의 바닷물 침수 피해는 일시적인 자연재해가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해 점점 심각해지는 구조적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신 의원은 섬 지역의 바닷물 침수 피해의 원인으로 ▲방재 인프라 부족 ▲해수면 상승 관측체계 미비 ▲기후변화 대응 조직의 비체계성을 꼽고 해결 방안으로 ▲방재시설 확충 및 보강(방파제와 테트라포트 설치, 호안 피복석 정비 등)을 위한 재난관리기금 긴급 지원 ▲해수면 상승 정밀 관측을 통한 데이터 축적 및 장기적인 재난대응 시스템 구축 ▲환경국, 해양항공국, 시민안전본부 등이 참여하는 TF(태스크포스) 구성 ▲중앙정부와의 협력 강화 및 국비 지원 확보를 제시했다.
신영희 의원은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더 이상 막연한 미래의 위기가 아니라 인천 섬 주민들이 겪고 있는 심각한 생존권 위협의 문제”라며 “인천시의 신속하고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