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대학생들, 여성 의무공천 비판 막말 논란
상태바
새정치 대학생들, 여성 의무공천 비판 막말 논란
  • 진달래 기자
  • 승인 2015.09.09 17: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수첩]진달래기자 - 할당 30%? 그럼 실리콘 넣고 공천받으면 되지"


새정치민주연합 인천시당 대학생위원회 관계자들의 여성 정치 진출에 대한 발언이 인터넷을 통해 일파만파 퍼져나가  눈총을 사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인천시당 대학생위의 이 모 위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새정치 <당권재민 혁신위원회>의 발표를 인용하며, "여성 공천 30% 의무할당에 반대한다"는 글을 적었다. 그는 반대하는 이유로 정치인 중 여성 비율이 적은 것은 여성들이 공천을 덜 받아서가 아니라, 정치를 하고자 하는 여성이 적을 뿐이라는 이유를 들었다.

이에 대학생위의 다른 당원인 유 씨는 덧글로 "선거 전에 가슴에 실리콘 넣고, 당선되면 빼. 밑에 확인할라고 하면 인권침해로 여성부에 신고해"라는 말로 남성이 공천에서 밀려나는 것이 억울하면 여성으로 가장해서 공천을 받으라는 비아냥조의 글을 적었다. 이는 여성 의무 할당으로 남성이 불리해진다는 것부터 생각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었다. 하지만 표현 방식에 있어서 ‘가슴 크기’와 ‘여성부’를 언급한 방식은 보는 이들의 불쾌감을 자아냈다.

이에 강서을 청년위원회 부위원장인 김민지 씨 등 타지역 당원들이 발언을 취소하고 사과하라고 요구했으나 유 씨는 거부했다. 현재 이 대화 내용은 현재 ‘직썰’의 백스프 에디터가 직접 캡쳐해 게시하고, 트위터에서 인용되어 퍼져나가는 등 인터넷을 통해 급격히 퍼져나가고 있다. 현재도 이 글은 친구공개 상태로 게시되어 있는 상황이다.

다만 유 씨는, "이미 많은 영역에 할당제 없이도 여성들이 진출해 있다. 새누리당에는 조윤선, 나경원이 있고 진보정당에서도 심상정, 이정희 등 남성들과도 경쟁에서 승리하는 여성 간판스타들을 배출하는 데, 민주당에는 그런 정치인이 없다"며, "기계적 평등효과를 위해 경쟁력이 없는 여성 후보를 전략공천하고, 지역구에서는 남성의원들이 자신의 지역구에 여성 전략공천이 오지 않게끔 여성 지역을 설정하고 담합한다"고 새정치민주연합의 여성공천이 의도와는 다르게 실행되고 있었다는 것 자체를 비판하려 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에 유 씨는 본지 기자와의 대화에서 “여성공천 30%가 불만이면 외형을 여성과 같이 만들고 가산점 받으라는 의미로 썼다. 친한 사이라 과격한 표현을 썼는데, 여성분들께 생물학적 외형을 가지고 부적절하게 인용하여 쓴 것에 대해 사과하고 앞으로는 SNS를 자중하도록 하겠다. 조금이라도 불쾌하고 불편해지셨다면 죄송하다”는 사과의 뜻을 밝혔다.

이 씨 또한 댓글로 "'여성이 여성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공천 30퍼센트를 보장받는다'는 말은 근거조차 없는 궤변이 맞고, 왜 한국 여성들이 정치에 참여를 못하는지에 대한 사회구조에 대한 분석이 아니라 단순히 퍼센트 문제로 생각한 것은 잘못"이라며 "불편을 드리게 되어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뜻을 밝혔다.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이미 지난 인천시당 대학생위원회 명의로 새누리당 심학봉 의원의 성폭력과 그를 두둔한 여성 의원들을 비판하는 성명을 통해 여성에 대한 성폭력에 반대한 바 있다. 하지만 여성의 신체와 인격 이상으로,  참정권 또한 보호받아야 할 인권이다. 유 모씨가 언급한 대로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에서 여성 공천 관련 비리가 있다면 그것은 남성의원들의 문제이지 여성 공천 자체의 문제가 아니다.

정치는 '하고 싶은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 각 시민들을 대표하고 국내 자원이 각 계층과 다양한 시민들에게 고루 분배되도록 할 수 있는 평등주의와 균형감각, 그리고 배려를 가진 이들에게 자격이 있다. 따라서, 미래의 정치인으로서 진정한 성평등을 바란다면 성폭력을 막는 것 이상으로 더 적극적으로, 심지어 그들이 몰라서 주장하지 못했던 정치적 권리를 알리고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 사회의 정치인을 꿈꾸는 이들이 여성 시민과 당원들을 정치에서 소외시키기보다는 적극적으로 함께할 수 있도록, 새정치민주연합 인천시당 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존의 기득권을 누리던 남성 시민들과 남성 정치인들이 가장 앞서서 실천해야 할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