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국제도시의 교통망 확충이 수년째 겉돌고 있다. 유도고속차량(GRT), 광역급행버스(M버스),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 등 각종 교통사업들이 줄줄이 표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한 열악한 교통 환경은 고스란히 주민들이 떠안고 있다.
29일 인천시,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에 따르면 청라 인구는 8만6천여 명으로 계획인구(9만 명)의 96%를 넘어섰다. 하지만 도시규모와 걸맞지 않은 부족한 교통 인프라로 ‘허울뿐인 국제도시’라는 불평이 쏟아진다.
주민들에 따르면, 청라에 진입하는 시내버스는 배차간격이 15~30분으로 상당히 긴 편이다. 주말 배차시간이 1시간이나 소요되는 버스도 있다. 게다가 운행시간도 일정하지 않아 주민들이 승차 대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굴곡 노선으로 인해 청라지구를 빠져나가는데만 다시 20~30분씩 걸리고 있다. 주민들은 공항철도 청라역이나 인천지하철 2호선 가정역(서구청역)으로 연결되는 직행 노선만이라도 시급히 확보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 청라 주민은 “버스노선이 너무 길어 배차시간이 정확히 지켜지지 않는다. 3대의 버스가 한꺼번에 올 때도 있다”며 “시에 항의를 많이 했지만 돌아오는 건 ‘알고 있지만 어쩔 수 없다’는 대답뿐이었다”고 하소연 했다.
또한 서울로 출퇴근 할 수 있는 버스는 청라~강서 간선급행버스(BRT·M6118) 뿐이다. 부족한 노선탓에 45명 정원인 버스에 70명이 넘는 승객이 입석하는 상황이 많아졌다고 밝혔다. 이에 주민들은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과 청라~서울 양재 간 M버스를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 교통망 확충 사업...줄줄이 표류 중
출·퇴근 시간대 광역급행버스로 운행하는 M버스(청라~양재)는 인천시와 주민 간 노선 문제로 갈등을 빚으며 지난해 12월 무산됐다. 직행과 경유 노선을 두고 시·사업자·주민들이 첨예한 대립을 이룬 것이 원인이다.
결국 1년 가까이 타협점을 찾지 못하자 운송사업자가 사업을 포기했다. 반면 같은 경제구역청 소속인 송도국제도시에선 올 9월 송도~서울(여의도·잠실) 간 M버스가 개통예정이다.
청라 내부(가정역 포함)를 운행할 예정이던 자동 운전 첨단 교통수단 GRT은 2020년 이후로 연기됐다. 국내에 ‘자율주행차’ 관련 법령이 아직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2월 발표한 정책에 따라 법·제도를 정비한다는 방침이지만, 도입까지 최소 3년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연장은 최대 숙원 사업 중 하나로 꼽힌다. 7호선 연장은 서구 석남역~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역 10.6㎞를 연결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사업성에서 발목을 잡히며 사업자체가 표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7호선 연장의 가장 큰 걸림돌은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자체가 불투명한 것이다. 현재까지 진행된 예타 조사에서 편익비용분석(B/C) 값이 사업성 판단의 기준인 1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15년 1월부터 진행된 KDI의 예타 조사에서 한 번도 1을 넘지 못했다.
▲ M버스 ‘난항’, GRT ‘임시대체’, 7호선 ‘대통령 공약’...다시 한 번 기대감
M버스는 시가 국토부에 기존 노선으로 다시 공모 요청을 해놓은 상황이다. 하지만 전망은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 사업성 확보의 어려움과 극심한 갈등 속에 중단됐던 사업에 다른 사업자가 선뜻 들어올지는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2020년까지 연기된 GRT는 유인 버스가 임시로 운행 될 예정이다. 인천경제청은 이미 구축된 GRT 전용차로에 올해 말부터 일반버스 14대, 굴절버스 4대 등 총 18대의 차량을 임시 운행할 계획이다. 경제청은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버스 임시 운행에 최종 합의하면 협약을 맺고 차량 구매에 나설 방침이다.
청라 7호선은 꺼져가는 불씨를 조금이나마 살리게 될 전망이다. 사업이 대통령 지역 공약에 담기며 추진력을 얻었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역 건의 사항을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전달할 방침이다.
그러나 국정기획위에 인천지역 인물이 전무해, 과연 실질적인 지역의 목소리를 낼 수 있겠냐는 우려가 적지 않다. 또한 1조2천억 원 가량의 막대한 재원 마련과 구체적인 사업 추진 여부 역시 관건이다.
배석희 청라국제도시총연합회 부회장은 "7호선 연장은 결국 B/C값이 문제인데, 시는 B/C값을 올리기 위해 정거장을 줄이고 공법을 바꾸는 등의 '비용 줄이기'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비용을 줄일 것이 아니라 로봇랜드나 청라 스타필드 등 예정(공포)된 사업의 확장을 통해 수요를 창출해야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