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선박 안전불감증 심각... ‘화물과적’ 적발 가장 많아
상태바
인천 선박 안전불감증 심각... ‘화물과적’ 적발 가장 많아
  • 배영수 기자
  • 승인 2016.09.28 16: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사회 “세월호 참사 잊었느냐” 격한 지적 이어져

2014년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당시 KBS뉴스의 보도 화면.
 
화물 과적 건으로 적발된 선박이 지난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급감했다가 다시 당시 수준으로 되돌아간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당시의 세월호의 출발점이었던 인천이 과적 적발 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이용호 의원(남원·임실·순창, 국민의당)이 국민안전처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이후 과적으로 해경에 적발된 선박은 총 381척이다. 이중 지난해 적발 건수가 55척으로 급증한 데 이어 올해 8월까지 68척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1년에는 83척, 2012년 74척, 2013년 86척 등 80척 안팎으로 적발됐다가,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2014년에는 15척으로 대폭 감소했다. 당시 세월호 참사의 한 원인으로 화물 과적이 지적되면서 단속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가 집권여당 등에 의해 정치적으로 비화되는 등의 영향으로 단속이 다시 미미해지면서 과적 행위가 늘어나고 이 때문에 적발 건수도 다시 늘어났다. 때문에 올해 이 추세대로면 올해 과적으로 적발된 선박 수는 세월호 사고 이전과 비슷한 수준에 이르게 된다는 논리가 가능해진다.
 
특히 인천의 적발 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이후 총 118척이 적발된 것. 그 뒤를 따르는 목포가 74척으로 무려 44척 차이를 보인 것이다. 뒤이어 평택이 56척으로 나타났음을 감안하면 웬만큼 적발된 지역만큼 차이가 나는 것이다.
 
특히 인천은 지난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2014년 1척, 지난해 2척의 적발 건수밖에 없었으나 올해 23척으로 급증해 전국에서 적발 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 오명까지 뒤집어썼다.
 
이 의원은 “무게 측정을 끝낸 후 선박에 화물을 추가로 실어 과적하는 관행이 근절되지 않으면 제2의 세월호 참사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지역사회의 지적도 만만찮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인천은 세월호 참사와도 연관이 있는 곳인데 다시금 안전불감증이 확산되는 분위기가 나온다는 얘기”라며 “추가로 선박사고가 크게 나고 애꿎은 목숨이 또 몇 명이 죽어야 정신을 차릴 것이냐”며 분개하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