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에 ‘속수무책’ 인천... 역시 원도심 피해가 심했다
상태바
폭우에 ‘속수무책’ 인천... 역시 원도심 피해가 심했다
  • 배영수 기자
  • 승인 2017.07.25 16: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도시와 대비 '극명'... 지역사회 ‘실망’

23일 침수피해가 심각했던 구월동 관내 당시 모습. 반지하 주택에 있다가 변을 당한 90대 노인이 거주하던 그 인근이다. ⓒ이동렬

 

23일 인천지역을 강타한 집중폭우로 인한 침수 피해는 원도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배수 등 재해 대비 시설이 잘 돼 있는 신도시에 비해 기반이 열악한 상황이 그대로 드러난 셈이다.
 
25일 인천시에 따르면 23일의 폭우(강우량 약 110mm)로 관내 주택과 상가, 도로 등의 침수 피해는 총 2,345건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는 부평구가 655건으로 가장 많고 남동구 652건, 남구 525건, 서구 439건 순이었으며 반면 연수구가 4건에 그쳤다. 중구는 27건, 동구 43건이었다.
 
같은 구 관내라고 해도 신도시에 비해 개인주택과 빌라 및 상가 밀집지역인 원도심의 피해가 더 컸다.
 
부평구를 예로 들면 신도시구역인 삼산 1동은 5건, 삼산 2동은 침수 피해가 없었다. 그러나 원도심에 해당되는 부평4동과 부평2동 구역은 침수 피해가 각각 135건, 106건이나 발생했다. 서구도 같은 사례다. 청라국제도시지역인 청라 1·2·3동에서는 침수 피해가 단 2건이었지만, 원도심인 석남1·2·3동은 침수피해가 152건이나 됐다.
 
이번에 수해가 극심했던 인천 원도심 지역 중 상당수는 과거 집중호우가 발생했을 때에도 피해가 많았다. 지난 2010년 9월 175.5mm라는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을 당시 5,237채의 침수 피해가 났는데 이때도 서구 석남동과 가정동, 남동구 간석동, 남구 주안4동 승기사거리 주변 등 원도심 지역의 피해가 컸다.
 
이같이 원도심의 침수 피해가 더 많은 것은 도시계획 수립 때부터 배수시설을 충분히 갖추도록 설계된 신도시와 달리, 과거 그런 개념이 부족할 당시 조성된 원도심이 하수관로나 유수지 등 침수를 막기 위한 기반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폭우 대비에 한계를 보이기 때문이다.
 
반지하 주택(인천 총 5만 3천여 채)이 원도심에 자리잡고 있다는 것도 원인 중 하나다. 이번 폭우로 숨진 90대 노인 역시 구월동 원도심 반지하에서 생활하다 폭우에 미처 대피하지 못한 채 변을 당했다.
 
인천시는 이 때문에 지난 2015년 세운 ‘하수도 정비 기본계획’을 통해 상습 침수지역을 우선으로 하수관로 확충 작업을 벌여 오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사업비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해 추진 속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폭우로 문제가 됐던 지역의 하수관로 시설 및 유수지 등에 혹시 이상 상황이 있진 않았는지 점검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사회는 재난에 대비한 시의 행정에 대체로 비판적이다. 빗물펌프 등이 대부분 늦게 가동되면서 침수 피해를 부추긴 데다 재난피해 상황 역시 제때 파악하지 못하는 등 전반적인 문제를 고스란히 드러냈기 때문이다.

부평구 시민 김모씨(42)는 “빗물펌프 시설을 늦게 가동했다는 사실이 다 드러났음에도 시는 매뉴얼대로 했다는 식의 변명만 고수하고 있다는 점이 실망스럽다”며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인구 3백만에 전국 3대도시를 천명한 도시가 맞나 싶을 정도”라며 실망한 기색을 감추지 못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