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마니산에서 길상면 온수리로 가는 도로길. 수로를 따라 길게 조성된 화단에 해바라기꽃이 무더기로 피었다. 촘촘하게 핀 해바라기 꽃들이 길게 늘어서 열병식을 펼치듯 '우로 봤!'을 한다. 꽃은 홀로 피웠을 때보다 여러 친구와 함께 필 때 더 아름답다.
해바라기 하면 키다리가 떠오르지만, 이곳에 핀 해바라기는 키가 작다. 개량종 해바라기 같다. 키가 작아서 그런지 꼿꼿한 허리로 표정이 밝다.
해바라기는 흔히 태양을 닮았다고 한다. '해님의 꽃'이라 별칭을 가졌다. 그래서일까? 뙤약볕이 내리쬐는 한낮에 피어나 강열한 색상의 뜨거운 감정을 드러내 정열적이다. 마치 태양하고 친구라도 되는 듯 말이다.
해바라기는 '태양을 향해 도는 꽃'이라 생각되는데, 그렇지가 않다. 햇빛이 드는 밝은 쪽을 향해 필 뿐이다. 그렇게 일제히 한 방향으로 고개를 쳐들고 있는 모습이 신기하다. 같은 모양의 꽃들이 한 방향으로 얼굴을 내밀고, 뒤통수는 꽃받침하고 노란 꽃잎만 보여 주는 조화가 인상적이다.
해바라기꽃의 구조는 좀 복잡하다. 바람잡이 역할을 하는 가장자리의 커다란 설상화, 그리고 안쪽에는 통꽃의 관상화들이 있다. 숱한 숫자의 관상화는 암술머리와 감싸는 수술대로 한 쌍을 이룬다. 설상화와 여러 관상화가 모여서 하나의 커다란 꽃으로 피어난다.
해바라기꽃을 보면 맑은 햇살을 받아 금가루를 뿌려놓은 듯 찬란하다. 꿀벌들 눈에는 금가루가 묻어있는 양 이를 긁어모으느라 신이 나 부지런히 움직인다.
통꽃의 관상화가 차츰 무르익어가면 그 무게를 못 이겨 고개를 숙이고, 얼굴은 볼록 튀어나온다. 다이아몬드를 닮는 수많은 씨앗은 가을 햇살에 까맣게 익어간다.
나는 이탈리아 여행을 하다 대평원에 끝없이 펼쳐진 해바라기 벌판을 만난 적이 있었다. 파란 하늘과 노란 해바라기 꽃물결은 감동 그 자체였다.
해바라기 꽃길을 바라보고 있자니 소피아 로렌 주연의 영화 <해바라기>가 생각난다. 야성미와 건강미 넘치는 소피아 로렌의 연기가 돋보인 영화였다. 사랑과 이별의 아픔, 전쟁터에 나간 사랑하는 남편을 기다리다 찾아 나섰지만, 또 다른 현실의 벽에 부딪히는 애잔한 이야기가 가슴을 적시었다. 가슴 시린 이야기와 헨리 맨시니의 '잃어버리 사랑(Loss of love)' OST로 많은 사람의 눈물샘을 자극했다. 스토리도 흥미로웠지만, 영화 속 드넓게 펼쳐진 해바라기 물결은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영상미학의 극치가 어떠한가를 유감없이 보여 주는 아름다움이었다.
해바라기의 커다란 얼굴은 늘 웃는 모습이다. 해바라기의 미소가 큰 위안이 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오랜 코로나 팬데믹으로 지친 일상이 해바라기를 바라보며 달래지기를 바래본다.
유럽의 해바라기밭이나 영화 <해바라기> 장면과 비교하면 비록 규모는 작지만, 아름다운 해바라기 꽃길을 걷고 있으니 그때의 감동 못지않다. 나그네의 발길을 멈추게 하기에 충분하다.
<해바라기> / 자작시
사랑의 키가 너무 커
담장 너머 그댈 봅니다
태양만 바라보다
그쪽만 바라보다
그대 향한 마음 들킬까
차마 고개를 숙입니다
까맣게 타들어 간 가슴
한 점 한 점 떼어낸들
당신을 향한 나의 사랑
태양을 따라 찾고 찾습니다
다시 세상에 태어나도
금빛 얼굴을 닮은 미소
어찌 잊을 수 있으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