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바이처가 아프리카로 간 이유
상태바
슈바이처가 아프리카로 간 이유
  • 최원영
  • 승인 2023.11.07 03: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원영의 책갈피] 제129화

 

 

위인전을 읽다 보면 그들의 삶에는 공통적인 경험이 있다는 점을 알게 됩니다. 경험의 종류는 다를지라도 커다란 고통의 시기를 겪었다는 점과 그 시기에 성공적인 삶으로 옮겨갈 수 있었던 계기가 있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선택한 자신의 길을 묵묵히 걸었고 걷는 순간순간마다 몰입하는 태도가 그들을 위인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몰입의 법칙》(김용욱)에 나오는 슈바이처 박사의 이야기를 전해드리겠습니다.

1952년입니다. 슈바이처 박사가 노벨평화상을 받으러 아프리카를 떠나 유럽으로 향했습니다. 기자들은 특종을 잡기 위해 그가 탄 기차에 서둘러 오릅니다. 그런데 1등석에 그가 없었습니다. 천신만고 끝에 그를 찾은 곳은 땀 냄새가 진동하는 가난한 사람들로 가득한 3등 칸이었습니다. 그런데 그곳에서도 그는 청진기를 귀에 꽂고 환자를 진찰하고 있었습니다. 기자가 물었습니다.

“아니, 편안한 자리를 두고 왜 여기서 이 고생을 하세요?”

힐끗 기자를 바라보더니 슈바이처는 편안한 말투로 말했습니다.

“나는 즐길 곳을 찾아 살아온 게 아니라 나를 필요로 하는 곳, 즉 내가 머물러야 할 자리를 찾아다니며 살아왔어요. 바로 여기가 내 자리입니다.”

참 멋진 슈바이처 박사이지요? 겸손한 마음이 여실히 드러나는 장면입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그에게 박수와 환호를 보내고 있지만, 정작 자신은 가장 낮은 자리에서 자신의 할 일을 묵묵히 해내는 사람이 바로 그였습니다. 깨달은 자들의 태도는 이렇게 공통적으로 겸손합니다. 마치 독 짓는 장인과도 같습니다. 세상 사람들이 무어라 하든 상관없이 그저 독 짓는 일에만 구슬땀을 흘리며 최고의 독을 만들어내는 사람 말입니다.

그런데 장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나 성자라고 불리는 슈바이처 박사가 이렇게 인정받기까지에는 그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 과정은 실로 견디기 힘든 어려움들로 가득했습니다. 책 속 슈바이처 이야기로 조금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대학 3학년 때인 스물한 살에 ‘서른 살까지는 내 학문과 예술을 위해 살고, 서른 살 이후부터는 봉사하는 삶을 살겠다!’라고 결심했습니다. 그리고 학문과 예술에 미쳤습니다.

그리고 그의 결정대로 스물네 살에 철학 박사학위를 받아 교수가 되었고, 스물다섯 살에는 신학 박사학위도 받았습니다. 바쁜 강의일정으로 짬을 내기 어려웠던 스물여덟 살에는 <예수 생애 연구사>란 책을 쓰기 시작했고, ‘바흐 음악’에 관한 논문을 책으로 내놓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파이프오르간의 연주법과 제작법’이란 책을 써서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서른 살 때는 이미 뛰어난 교수이자 오르간 연주자로 명성을 날렸습니다.

어느 날 우연히 잡지에서 아프리카 사람들의 비참한 생활을 본 그는 서른 살인 1905년 10월 13일에 한 통의 편지를 우체통에 넣었습니다. 겨울학기가 시작되면 의학 공부를 시작해 의사가 된 뒤 아프리카에 갈 예정임을 지인들에게 알리는 편지였습니다.

지인들은 지금까지 쌓아놓은 재능과 명성이 아깝다며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비아냥거렸습니다. 하지만 그는 이들의 말을 ‘사랑의 표현’이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열심히 의학 공부를 했습니다. 가르치는 교수 역할과 의학을 공부하는 의대생 역할을 열심히 한 끝에 드디어 서른여섯 살에 의학 박사학위를 땄습니다.

1912년 서른일곱 살인 그는 아프리카 가봉에 병원을 세우기로 하고, 아내와 함께 그곳으로 갔습니다. 처음엔 닭장을 개조해 진료실을 만들어 치료했습니다. 그러나 시련이 닥쳤습니다. 독일인이란 이유로 포로가 되어 수용소 생활을 한 겁니다. 그 기간 동안에 고향에 계신 어머니가 돌아가셨고, 아내도 병이 들고 말았습니다. 슈바이처 자신도 이질과 결핵에 걸려 고생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서도 자신의 소명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마침내 자유의 몸이 되자 하루 4시간만 자면서 낮에는 강연과 오르간 연주를 했고, 밤에는 미친 듯이 책을 쓰며 병원의 운영자금을 모았습니다. 결국 큰 병원을 건축했습니다.

자신의 일을 돕겠다는 지인들에게 그는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나 같은 일을 하려는 사람들 중에는 신중하지 못한 사람이 많았다. 단지 지금 자신이 하는 일에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동참하려고 한 사람도 있었다. 영웅적인 심정으로 동참하려고 한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소명을 실천할 수 있는 자격을 지닌 사람은 영웅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소명에 미쳐야 한다.”

누구나 우러러보는 자리에 오른 사람들이 TV에 자주 비칩니다. 그러나 그들이 어떻게 살아왔는지는 볼 수가 없습니다. 그들이 그 자리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은 아마 무척 힘들었을 겁니다. 그래서 박수를 보내는 겁니다. 그러나 박수를 받다 보면 박수받는 것이 삶의 목적인 것처럼 여겨지기 시작합니다. 바로 자신이 영웅이 되어 있다는 착각으로 살게 되는 겁니다. 그것을 슈바이처 박사가 경계하고 있는 겁니다.

영웅이 되려고 높은 자리에 선 것이 아닙니다. 죽지 못해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해 내가 의사가 되었고, 의사로서 그들의 아픔을 치료해주는 것, 이것을 위해 의사라는 높은 자리에 선 것임을 잊지 않는 사람이 진짜 영웅일 겁니다.

노벨상을 받으러 가는데 3등 칸에 탄 슈바이처 박사, 그것도 그곳에서 가난한 환자들을 진료하는 그분의 아름다운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의아해하는 기자에게 “이곳이 내가 머물러야 할 자리”라고 말씀하시는 그분이 참으로 거룩하다는 느낌마저 듭니다.

그분의 삶을 들여다보면 볼수록 남들의 박수와 갈채, 또는 비난에 상관없이 그저 그 자리에서 힘겨워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던 초심을 묵묵히 행하는 진짜 영웅이 여러분이고 저였으면 참 좋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