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도에서 신도로 연결되는 평화도로 건설 공사로 운서IC 앞 '세계평화의 숲'의 나무가 400그루 이상 없어지고 숲 일부가 잘려 나가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14일 오후 2시 영종도 운서동 '세계평화의 숲' 끝자락(열병합 발전소 앞)에서 평화대교를 건설하고 있는 한화건설 백승열 현장소장과 중구청 공원 관리 담당자, 운서동 주민자치회원 10 여명이 만나 상황 설명을 들었다.
백 소장은 영종도에서 신도로 건너가는 다리에 연결되는 램프를 건설하기 위해 240m 길이의 숲 일부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연결 램프를 설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운서동 주민대표로 참석한 주민자치회 회원들은 영종도의 허파와 같은 '세계평화의 숲' 일부가 상실되는데 따른 시민 피해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하고 공청회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주민 대표들은 3월 23일(목) 오전 10시 운서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공청회를 열기로 했다.
평화대교는 자전거 도로도 함께 건설되는 4km길이의 다리다. 위 사진의 도로는 영종도 공항신도시에서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 운서동 삼목1 사거리에서 우회전하는 도로로서 서울과 제2공항고속도로로 연결된다. 이 도로 우측으로 다리가 건설된다. 사진에는 교각의 기초 부분을 볼 수 있다. 이 도로 우측으로 이날 논의된 나무 400 그루 이상의 나무 이식 공사가 진행된다.
램프가 건설될 지역은 현재 소나무 등 각종 나무들이 빽빽이 들어 서 있는 방풍림이다. 대략 400그루라고 했으나 실제는 그보다 훨씬 많아 보인다. 참석한 중구청 관계자는 공사가 진행되면 나무를 다른 곳에 이식하였다가 적당한 장소가 결정되면 다시 심을 예정이라고 한다. 이식 되는 나무도 문제이지만 시민들의 휴식 공간인 세계평화의 숲이 유실되는 것에 대하여 숲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상실감이 커 보인다.
주민들은 나무를 이식한 곳에 방음벽 설치나 대체 나무가 들어선다해도 차량 소음이나 매연을 차단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현장 소장은 환경영향평가 결과 소음 등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방음벽은 없는 것으로 설계되었다고 한다.
의논하러 간 주민들은 이에 미래에 지나다닐 차량을 감안하지도 않고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여 설계하는 건설이 어디 있느냐며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실될 예정의 세계 평화의 숲으로 들어가 살펴보니 바로 접합하는 부분에는 영종도에서 전통적으로 보존해온 음나무 숲 단지가 자리잡고 있다. 세계 평화의 숲은 바다가 변하여 만들어진 숲이지만, 숲을 조성할 때 영종도의 산이나 마을에서 나무를 이식하여 만들어졌기에 나름대로 영종도의 전통적인 숲이 보존되고 있어 주민들의 사랑을 받는 숲이다. 세계평화의 숲에 이식된 음나무 단지는 인근 백년산에 음나무 군락이 있을 정도로 영종도에서 잘 자라는 나무다. 이런 평화의 숲에 램프로 진입하는 차량의 매연이나 소음은 지역 주민에게 견디기 힘든 시련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세계평화의 숲에 연결되어 저층 아파트가 위치해 있다. 신도로 연결될 평화대교 옆이다. 이 지역은 인천공항이 인근에 있어 10층 이하의 아파트만 허용됐다. 하지만 이곳에 사는 주민들은 저층아파트에 사는 것이 자연과 친하게 지낼수 있다는 장점을 잘 알고있다. 이곳 주민들은 아침 저녁으로 세계평화의 숲을 거닐고 바다를 바라보며 호흡한다. 차량에서 내뿜는 매연에 오염된 숲과 방음벽이 없는 평화대교의 소음을 들으며 숲 길을 걷는다는 것은 주민들에게 힘든 일이 될 것이다.
요즘 주민들은 숲에서 맨발로 걷기가 유행하여 자연을 만끽하는 방법을 더 깊이 느끼고 있다. 영종도는 인구도 늘어나고 있는데, 대한민국의 어느 도시보다 어린아이가 많아 세계평화의 숲에서 어린이와 산책하는 어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건설 중인 평화대교 옆에 위치한 유수지의 경우 자연환경이 좋은 덕분에 철새들이 많이 들어와 겨울을 지내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유수지에 전망대도 설치하고 망원경도 놓여있다. 그런데 올해는 다리 공사로 인해서 많이 보이던 철새나 고니도 보기 힘들었다고 한다.
영종국제도시의 시민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영종총연) 김요한 정책위원장은 "평화대교 다리공사로 인하여 사라져버린 '세계평화의 숲' 녹지 공간의 훼손 문제가 심각하다"며 "평화다리 건설에서 영종도 주민의 녹지공간 일부가 유실된다면 영종도 주민은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아야 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 공청회 이전에 다루어졌어야 할 문제이지만 늦게나마 공청회에서 해결하고 주목해야 할 문제라고 밝혔다.
주민 대표들은 대교 건설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오는 3월 23일 열리는 공청회를 통해 심도있게 대책을 협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