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워야 할 초미세먼지 위기 대응
상태바
뜨거워야 할 초미세먼지 위기 대응
  • 정세국
  • 승인 2019.11.11 09: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태칼럼] 정세국 / 미추홀푸른숲 사무국장


 
기상관측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 농도를 기록한 지난 1월 14일 정오 문학산에서 내려다 본 연수동 아파트단지.



세계 153개국 1만1258명의 과학자들은 ‘기후 비상사태 경고’라는 새 보고서를 통해 “지구는 명백하고 분명하게 기후 비상사태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이행해야 할 정책 목표를 제시했다.

“기후 위기가 부유한 생활 방식에 따른 과도한 소비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며 “정책 입안자들이 관련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과학자들이 기후변화를 ‘비상사태’라고 공식 규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워싱턴포스트지는 전했다. 보고서에서 과학자들은 “우리는 과학자로서 있는 그대로 말해야 할 도덕적 의무를 지니고 있다”며 “인류가 방향을 바꾸지 않는다면 기후변화에 의해 ‘말할 수 없는 고통’이 야기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작년에 이어 내년 봄에도 황사와 미세먼지가 뒤덮은 세상에서 숨 쉴 곳을 찾아야 하는 바쁜 시기가 될 것이다. 올 봄 공기 청정지역을 찾아 해외로 나가는 광경에 익숙했던 것처럼 내년에도 이를 반복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더하여 정치권에서도 뜨거워질 테마이다. 4월 국회의원 선거과정에서 누구랄 것도 없이 모두 미세먼지 대책을 강조하거나 이를 위한 대응방안까지 공약도 많아질 것이다. 이번에는 어떤 대안으로 선두 다툼을 이어갈지 기대가 된다.

평상시 초미세먼지가 ‘보통’단계라고 할 때가 35㎍/㎥이하 인데 올 3월 초 충북 청주를 비롯 전국적으로 무려 246㎍/㎥ 가까이에 달했던 때가 2일 이상 지속되자 전국이 난리가 났었다. 인천 연수구의 경우 최고 108㎍/㎥에 이른 적도 있었다. 기세가 수그러진 올 4월 이후 얼마 전까지 미세먼지를 잊고 지냈다. 경기하락으로 인한 고통 속에 있는 민초들이 가지고 있던 미세먼지 스트레스는 묻혀 버린 채 살아가고 있다.

올 봄 국회에서는 각급 학교 마다 공기청정기 구입비로 예산책정을 아주 쉽게 해주었고 지자체에서는 노인을 위한 황사마스크를 무료로 나눠주는 일도 있었다. 겨울이 시작되는 지금도 40㎍/㎥이 넘쳐나는 수치가 되어 우리를 안타깝게 하고 있다. 황사와 함께 발생하는 초미세먼지에 대한 대안은 여러가지 나와 있어도 제대로 실행하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기후위기 대응은 공기업에서는 일부 움직인다고 해도 일반기업에서의 움직임은 거의 없다시피한 상태이다.

각 국가의 수도 가운데 세계최악의 초미세먼지 도시는 뉴델리로 2018년 평균 113.5㎍/㎥, 방글라데시의 다카가 97.0㎍/㎥, 울란바토르가 58.5㎍/㎥, 서울이 23.3㎍/㎥으로 국제 대기오염 조사기관인 에어비쥬얼이 발표하였다. 지난 10월말 뉴델리는 무려 1000㎍/㎥까지 이르러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인 25㎍/㎥를 40배나 초과해 싯누런 가스실로 되었다. 인도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는 전체 사망자 가운데 사망원인 1위인 124만명이라고 한다.

세계는 기후변화 현상 가운데 가장 빨리 접근해 온 초미세먼지 앞에서 속수무책이다. 북극이 무너지는 것이 남의 일이라고 바라보는 세계인들에게 가장 먼저 다가온 초미세먼지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하나하나 실마리를 풀어가기에는 초미세먼지의 위력 앞에 무기력한 일이 될 뿐이다. 드러난 현재의 문제에 대한 느긋함은 언제까지 가능할까? 어느 시점에서 우리 DNA에 존재하는 ‘닥쳐야 해결하려 하는 조급증’의 작동을 기대해야 할까? 기후변화 위기대응 비상행동을 절규하는 목소리에 우리는 진영 싸움에 휩쓸려 닥쳐온 위기를 방관 할 것인가?

이상기후에 의해 일어나는 온갖 징조에 대해 많은 경고를 해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보다 높은 경제성장을 위해 각 공장에서 만들어내는 이산화탄소와 매연의 감축은 외면하고 있다. 그나마 디플레이션 기미로 공장 가동이 어려운 지금에도 초미세먼지에 대해 아우성인데 성장이 지속될 경우 호미로 막을 일을 가레로 막게 될 것이다. 오히려 우리는 강원도 홍천에서 사과 재배가 성공하였고 전남 강진에서 재배한 바나나가 시장에 나올 수 있어 물류비용이 덜 든다는 사실에 불가능이 없다는 사고에 빠져 즐기고 있다. 당장 대응을 하더라도 경제성이 없어 안된다고 보는 견해는 그들의 후손들이 지금 뉴델리에서처럼 살아도 된다는 암묵적인 동의가 될 뿐이다. 정치의 시즌에 잠시 동안 말잔치로 초미세먼지가 종료되는 것은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 말에 대한 책임은 그들의 몫이지만 그 정책을 끝까지 지켜보는 일은 시민의 권리이자 의무가 된다. 정책입안자들이나 시민들이 모두 우리 스스로의 미래 희망을 포기하지 않도록 지금부터라도 기후변화에 대한 시각을 바꾸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