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부지 턱없이 부족해 인천 등진다'
상태바
'공장부지 턱없이 부족해 인천 등진다'
  • 김도연
  • 승인 2010.02.23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핫 이슈] 공장부지난 심각한 인천
취재:김도연 기자

공장을 지을 땅이 턱없이 부족해 인천을 등지는 기업들이 잇따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하루빨리 해결하지 않으면 기업들의 '탈(脫 인천'은 가속화할 전망이다.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건만, 인천시에선 뾰족한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핫 이슈'로 등장한 지역의 '공장부지난'을 집중취재했다.


인천상공회의소는 지난 9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제2회 인천지역 경제발전전략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세미나는 2010년 인천지역 경제전망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제조기업의 기업환경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인천지역 기업들이 다른 곳으로 옮겨가는, 소위 '탈 인천' 현실에 대해 기업 스스로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것이 그대로 반영됐다. 세미나에서는 '탈 인천'의 주요 원인으로 부지 문제가 지적됐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업 환경 조성이 강조됐다.


인천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는 부지 문제가 기업 환경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이 지적됐다.

지역 기업 전출, 전입 웃돌아
 
인천상공회의소는 지난해 말, 회원업체 관리를 위한 내부 정보망을 활용해,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 말까지 매출액 10억 이상 전국 상의 회원업체를 대상으로 인천지역 전출입 기업 현황과 산업별, 지역별 전출입 실태 분석을 했다.
 
분석 결과, 2003년부터 2008년 말까지 인천을 떠난 기업은 모두 613개사이고 인천으로 들어온 기업은 모두 491개사였다. 전입기업보다 전출기업이 122개 많았다.
 
전출기업과 전입기업의 차가 가장 컸던 해는 2004년, 가장 적었던 해는 2008년이었다. 2006년에는 전입기업(111개사)이 전출기업(86개사)보다 많았다.
 
2003년 전입기업은 47개사였으나 전출기업은 71개사였고, 2004년 전출 81개사 전입 137개사였다. 2005년은 전출 109개사 전입 76개사, 2006년에는 전입이 111개사, 전출이 86개사였고, 2007년은 전출 108개사 전입 87개사, 2008년은 전출 102개사, 전입 89개사였다.
 
연도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2006년을 제외하고 매년 인천에 둥지를 트는 기업보다 인천을 등지는 기업들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전출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73.2%를 차지해 절대적인 비중을 보였다. 그 뒤로 도소매업(10.4%), 서비스업(9.0%), 건설업(6.4%) 등이 많이 타 지역으로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전입기업 역시 제조업의 비중이 62.7%로 가장 높았으며, 도소매업(13.0%), 건설업(11.6%), 서비스업(10.8%) 순으로 많았다.

수치상으로만 보면 제조업은 빠져나가고, 건설업은 들어오는 경향이 뚜렷한 상태이다.
 
실제로 인천지역의 건설업체는 지난 2005년 7개사에서 2006년 9개사, 2007년 14개사, 2008년 18개사 등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부지 협소가 전출의 주된 이유

 
인천상의 조사 결과 기업들이 인천을 등지는 이유는 '부지 협소'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전출 기업들이 인천을 등지는 주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한 해답 역시 인천상공회의소가 지난 1월20일부터 26일까지 전출기업 81개사, 전입기업 70개사 등 모두 151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천지역 공장이전 기업인 의견 조사'에서 나타난다.
 
조사 결과, 본사 또는 공장을 전출하게 된 이유로 부지 협소를 꼽은 기업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쉽게 말해 땅이 부족해 이사를 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전체 응답자의 22.6%는 '부지 협소'를, 17%는 '마케팅 등 사업 환경 악화'를, 13.2%는 '파격적인 공장유치 지원'을, 11.4%는 '협력업체 이전'을, 9.4%는 '규제 및 민원 발생'을, 7.8%는 '인력 수급'을 본사나 공장 전출의 주된 이유로 꼽았다.
 
반면 이사를 오는 기업들이 인천을 택한 주된 이유로는 27.7%가 '교통 및 인프라 확충, 물류 편리성'을 들었다. 또 14.6%는 '협력업체 및 관련업종 집적'을, 11.4%는 '인력 수급 용이'를 꼽았다.
 
공항이나 항만 등 인천지역이 갖고 있는 물류 인프라가 기업들에는 매력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특이한 점은 응답자의 13.4%가 '산업용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지역발전성 기대'를 전입 이유로 들었다.
 
결국 전체 응답자의 35.8%는 본사 또는 공장 부지 문제로 인천을 떠나면서도 13.4%는 여전히 지가 상승에 따른 부동산 자산의 증가 기대감으로 인천으로 이사를 오고 있었다.
 
부지를 확대하지 않으면 '탈 인천' 가속화


인천시가 조성중인 검단산업단지 위치도. 새로운 산업단지의 요구가 높다.

설문 결과가 보여주듯 부지 문제는 지역의 기업 환경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다.
 
지역 기업들이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것은 비단 산업단지에 위치한 기업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현재 인천시 전역에서 진행 중인 도시개발 사업 등으로 인한 강제 이전도 큰 문제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말 도시계획 및 각종 재정비·개발사업과 관련한 이전 대상 공장들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였다. 조사대상은 모두 2천155개 업체였다. 이들 업체는 자의든 타의든 어쩔 수 없이 이전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시는 이 가운데 152개 업체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해 이전 대체부지 구입에 따른 자금 부담과 낮은 보상금액으로 인한 지역 내 이전 불가 원인을 전출 이유로 파악했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결론적으로 도시개발 등으로 이전해야만 하는 기업들의 상당수가 자금 부담으로 어쩔 수 없이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현 토지 보상 금액으로는 인천에서 비슷한 규모의 부지를 확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시는 개발 사업 등으로 인한 인천 공장에 대해 행정적으로 지원해 지역 내 정착을 유도하고, 도시재생·개발사업과 관련한 이전 공장의 대책 마련을 위해 TF팀을 구성해 운영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 12월 경제통상국장을 팀장으로 기업지원과 도시계획·개발계획과, 도시재생과 항만공항시설과 과장 등 주요 부서장과 인천도시개발공사 검단사업처장,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원, 인천상공회의소 사무국장 등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TF팀을 꾸리고 이달 안에 첫 회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시 차원의 대책과는 별도로 기업인들 스스로도 부지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별도의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인천상공회의소는 '(가칭)인천기업인공장부지대책협의회'를 구성하기로 하고 이달 26일까지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참여 업체를 모집한다.
 
인천기업인공장부지대책협의회는 공장재배치와 검단지역 재개발 등에 의한 공장 이전기업, 도심의 높은 임대료와 분양가로 인한 이전기업 등이 발생함에 따라 저렴한 공장부지의 확보와 적기 공급을 위한 대책을 세우고, 공장부지 관련 유관기관과의 단일 창구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공장부지 현안관련 포럼 및 세미나 개최와 강화일반산업단지 조기 추진방안 협의, 산단조성 등 저렴한 공장부지 확보와 적기 공급방안 협의, 공장이전 방안(대책) 수립, 공장이전에 따른 토지보상 및 부지배당 등 대책 마련, 이전 대상지역 업종 등의 문제점 해소방안 강구 등의 활동을 벌일 계획이다.
 
인천상공회의소는 회원업체 모집이 마무리되는대로 이 달 안에 준비위회를 구성해 다음 달 창립총회를 거쳐 업무를 개시하기로 했다.
 
결국 기업 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저렴한 공장부지를 공급해야 한다. 신규 산업단지 조성도 필요하지만 기존 용지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가는 게 지역 기업인들의 한결같은 지적이기도 하다.
 
신규 산업단지로는 현재 검단 산업단지가 조성 중이다. 또 기존 용지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남동국가산업단지에 대한 구조고도화 시범 사업이 진행을 앞두고 있다.
 
기업들의 '탈 인천'을 막고 지역 기업들의 부지난을 해소하기 위해 기업 환경에 대한 인천시의 적극적인 대처가 시급한 상황이다.
 
지역의 한 기업인은 "공장부지난은 앞으로도 지역 기업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라며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기업들이 인천을 벗어나는 일은 뻔하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