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 빙하가 모두 녹으면 인천 앞바다는 어떻게 바뀔까?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금의 추세를 돌이키지 못하면 금세기 안에 해수면이 평균 7m 상승할 것으로 추측했다고 환경단체는 주장한다. 1만 명 넘는 연구자들이 수십만 편의 기후 관련 논문을 분석하는 IPCC는 2008년 4차 보고서 이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는데, 올해 6차 보고서를 제출했다. IPCC는 단정적으로 예측하지 않는다. 위기의 범위를 발표하는데, 자료가 축적되면서 보고서를 더욱 정밀하게 수정한다. 환경단체는 수정한 IPCC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경고 목소리를 한층 높인다.
6차 보고서에서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5도 상승하는 시기를 10년 이상 앞당긴 IPCC는 온난화되는 기후변화가 예측보다 빠르다는 걸 지적했는데, 지난 8월 14일 관측 이래 처음으로 70억 톤의 폭우가 내린 그린란드에 410억 톤의 빙하가 녹았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한반도의 8배가 넘는 그린란드에 평균 1.5km 두께로 덮인 빙하는 크레바스로 녹아내리는 물을 폭포처럼 쏟아내고, 그 물은 빙하 아랫면을 따라 바다로 흘러들 것이다. 아직 그린란드의 빙하는 대지 위에 붙어 있지만, 앞으로 바다로 곤두박질하는 빙하는 풍랑을 일으키며 녹는 속도를 급격히 높일 게 틀림없다.
해수면이 7m 상승하면 인천공항은 사용 가능할까? 막대한 비용을 들여 공항 밖에 바닷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방을 쌓아도 소용없을 것이다. 기온이 상승할수록 거듭 강력해질 태풍이 해일과 쓰나미를 일으키며 제방을 넘칠 것이기 때문이다. 인천공항만이 아니다. 상하이 푸둥공항, 오사카의 간사이공항처럼 바다를 매립했거나 해안을 차지한 아시아 대도시 인근의 국제공항 대부분이 해수면 아래로 잠길 수밖에 없다.
최근 세계은행은 30년 안에 기후변화가 2억 명이 넘는 이주민을 만들어낼 것으로 예측했다. 그들은 어디로 삶터를 옮겨야 할까? 해수면이 7m 상승하면 상하이를 비롯해 중국 인민이 거주하는 동부 해안은 거의 사라진다. 10억이 넘는 인민을 중국 내부는 받아들일 수 있을까? 그린란드 빙하기 모두 녹을 즈음이면 히말라야 빙하는 이미 녹았을 가능성이 크다. 히말라야 빙하에 의존하는 인구는 중국 해안 인민의 수보다 많을 텐데, 그들은 어디로 옮겨야 할까?
2017년 일본의 유력 정치인 아소 다로는 유사시 10만 명 이상 발생한 한반도의 난민이 일본에 상륙할 때 자위대가 사살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했다고 알려졌다. 아프가니스탄의 400명 가까운 특별기여자가 정착할 수 있도록 우리 정부와 국민이 마음으로 돕는다. 따뜻한 이야기인데, 앞으로 어떨까?
위기로 치달아가는 기후변화는 10만 난민을 가볍게 넘길 텐데. 중국과 인도, 일본과 동남아, 그리고 우리나라까지, 아소 다로의 상상과 달리 중무장한 자위대도 소용없을 것이다. 분명한 것은 해수면이 7m 상승할 국가의 정부, 그리고 도시는 거의 대비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금세기 안이 먼 이후일까? 임기 내에 별문제 없을까? 7m 상승하기 전부터 해안은 재난이 일상화될 가능성이 큰데, 나 몰라라 방임해도 무방할까? 꼭 짚지 않는 IPCC 과학자들은 자신이 쓴 책에서 위기를 강조한다. 환경단체는 불안하다. 예상보다 빠른 기후위기에도 정부는 느긋하지 않나. 기업은 태평하다.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게 틀림없는 도시의 단체장들은 몸이 달았을까? 중국과 가장 가까운 인천은 어떤가?
송도국제도시를 바라보는 아파트의 3층에 살지만 공동 사용 공간이 2개 층에 있으니 바닷물이 7m 상승하면 잠기지 않을지 모른다. 강력해질 태풍은 서쪽 송도 신도시 고층빌딩을 거푸 부딪쳐도 약해지지 않겠지만, 빌딩 숲을 헤집던 쓰나미가 다가올 즈음, 식구들이 옥상으로 대피할 여유는 허용될지 모르겠다. 그런다고 무슨 소용일까? 전기도 물도 식량도 모두 끊어질 텐데. 위기는 코앞인데, 주민들은 태평하다. 아파트 값 상승 소식에 솔깃할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