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까지 수산물 생산 10위 국가로 만든다
상태바
2014년까지 수산물 생산 10위 국가로 만든다
  • master
  • 승인 2010.03.15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5일 '제3차 수산진흥 종합대책(2010∼2014)'을 발표했다. 1999년 한·일 어업협정 체결을 계기로 수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5년마다 수립하도록 한 종합대책이다.

   우선 '저탄소 녹색성장'이란 전 세계적 추세에 맞춰 수산업도 저탄소 녹색 수산업으로 전환된다.

   2013년까지 어선 1천85척의 집어등을 LED(발광다이오드) 집어등으로 교체하고 바다숲 7천㏊를 조성해 탄소 흡수원으로 삼기로 했다. 바다숲은 어류의 산란 서식장, 해조류 바이오매스(녹색연료) 공급원 구실도 한다.

   올해 중 '어업 구조조정 특별법'을 제정해 기름을 많이 쓰거나 어획 강도가 높은 업종에 대해 중점적으로 감척 사업을 벌여 지난해 5만7천척이던 연근해 어선을 2014년까지 5만척 수준으로 줄인다.

   현재 835만t 수준인 수산 자원을 2014년까지 900만t으로 늘리기 위해 인공어초나 바다숲, 바다목장을 조성하고 종묘(씨물고기)를 방류하는 등 수산 자원 조성에도 나선다.

   신(新)성장동력으로 양식산업 육성에도 나선다. 참다랑어, 연어, 고등어 같은 고부가가치 어종을 먼 바다에 설치한 대형 수중 가두리에서 기업형으로 양식하는 외해 양식장을 2014년까지 19곳 개발한다는 목표다.

   연근해에 있는 내만 가두리의 30%(352㏊)를 외해로 옮기고 세계 5대 갯벌로 꼽히는 서·남해안 갯벌에 친환경 양식어장 7곳을 조성해 굴, 해삼 등을 수출 전략품목으로 키운다.

   2016년까지 원양어선 38척을 새로 건조해 어선 노후화로 인한 경쟁력 저하를 막고, 우리나라가 연간 28만t의 참치를 잡는 태평양 연안국과는 협력을 강화해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에는 톳 같은 해조류를 대량 양식해 펄프를 생산하는 시설을 만들어 차세대 세계 펄프 시장 선점에 나서기로 했다.

   또 매년 400여명의 후계 수산업 경영인을 육성하고 해양 레포츠, 수산시장, 호텔, 공연장 등 복합 휴양기능을 갖춘 다기능 어항 9곳을 추가로 완공해 어촌 관광에 활력을 불어 넣기로 했다.

   2013년부터는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 등 '조건 불리(不利) 지역'에 대해 수산 직불제를 도입하고, 어가 단위 소득 안정제도 시범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연평균 1조4천192억원씩 5년간 7조961억원을 투·융자할 예정이다.

   하영제 농식품부 제2차관은 "종합대책을 통해 2007년 기준 수산물 생산 세계 10위, 수산물 수출 26위인 우리나라 수산업의 위상을 2014년 생산 10위, 수출 20위로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