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재훈 제물포 주민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상태바
[인터뷰] 김재훈 제물포 주민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 이병기
  • 승인 2010.01.22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영개발 때문에 동네 흉흉해져요"

김재훈 제물포 주민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동네 주민들의 정이 예전만 같지 않아요. 10~20년 동안 한 마을에 살았던 사람들인데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 갈등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어르신들은 공영 개발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고…. 동네가 흉흉해지고 있어요. 시가 이런 부분에서 일말의 책임을 져야 합니다. 이웃 간 갈등을 풀기 위해 노력해야지, 오히려 주민 사이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를 하면 안 되죠."

김재훈(41) 제물포 주민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은 대화 도중 이웃들과 좋지 않았던 기억이 떠올랐는지 간간히 눈시울이 붉어졌다. 다른 대책위에 비해 '젊은 나이'에 주민대책위 공동위원장을 맡다 보니 동네 사람들한테 오해와 서러움도 받았다고 한다.

안상수 인천시장은 지난 달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 재정비촉진지구 주민 전수조사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가좌IC와 인천역 주변의 공영개발 사업방식을 철회하고 제물포 지구는 보류, 동인천역 주변은 원안대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제물포 지구의 주민 반발이 거세지면서 지난 19일 재정비촉진지구 해제를 발표했다. 시는 찬성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공영개발사업을 다시 추진하고, 반대가 많은 지역은 민영개발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제물포(37.4%)의 주민설문조사 회수율은 다른 지역(가좌IC 60.5%, 동인천 47.7%, 인천 49.5%)에 비해 다소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 중 공영개발을 찬성하는 주민은 44.2%, 반대 54.1%로 건물(주택)을 소유하면서 거주하고 있는 주민(1343명, 67.5%)들이 가장 많이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찬성에 손을 든 주민은 건물을 소유하고 있으나 거주하지 않는 주민(355명, 68.3%)이 가장 많았으며, 영업장 임차인(259명, 57%)이 그 뒤를 이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제물포에 실제로 거주하는 주민들이 공영개발에 가장 크게 반발하고 있으며, 거주하지 않으면서 건물만을 갖고 있거나 장사를 하는 상인들이 공영개발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재훈 위원장은 얼마 전 열린 제물포북부역상가대책위의 공영개발 촉구 집회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정말 마음이 편치 않았습니다. 상가 세입자들의 심정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실제로 거주하는 사람들의 입장도 생각해 줘야죠. 공영 개발을 찬성하는 몇몇 사람들 때문에 대다수 반대 주민들이 시로부터 '일부'로 매도되기도 합니다. 실제 원주민들의 약 70%가 반대하고 있는데요. 상가 세입자들과도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합니다."

상가대책위는 "인천대 이전 이후 심각한 경영난에 빠져 있다"며 "상가 세입자들이 영업손실분 및 분양권 등의 보상을 받고 나갈 수 있도록 시가 공영개발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천시의 도시재생사업 지구별 조성 계획에 대해서도 불만을 나타냈다.

"개발지역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근거를 바탕으로 주민 합의를 이끌어야 하는데, 시는 무조건 쌍둥이 빌딩과 주상복합 아파트만을 지으려고 합니다. 명품, 명품 하는데 꼭 높은 건물만 있다고 명품이 되는 것은 아니잖아요. 현재 살고 있는 환경에서 최대한 아름다운 동네를 만들기 위해 개선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알아요. 우리 동네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왔는데, 그 집은 없어지고 고층 건물만 있으면 어떻겠어요."

김 위원장은 인천시 공영개발의 가장 큰 문제로 주민 협의와 설득과정이 없었다는 점을 꼽는다. 또한 시가 인천 전지역에서 무리하게 대규모 사업들을 추진해 여러 장애요인에 부딛혔다고 지적했다. 

그는 "언제는 선량한 주민들을 일부 질이 좋지 않은 시민들로 매도하면서 이제와서는 역량이 부족해 사업을 중단하거나 보류한다고 하니 앞으로 인천시에 대한 믿음은 없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우리 동네는 나이 든 사람들이 많아 인터넷에서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해하기가 쉽지 않아요. 그분들은 거의 3년을 불안감에 떨며 지냈죠. 혹시라도 내 집이 보상을 받지 못하고 쫓겨나진 않을까. 형편이 어려워 대출을 받았던 사람들  중에는 자유롭게 거래할 수 없었던 이들도 있죠. 만약 지구지정이 해제된 이후에도 시는 주민 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합니다. 또 몇 년 간 고생한 것에 대한 사과도 받아야 하구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